목록조선 왕 가계도 (16)
빌딩멘토

인조"仁祖"는 1595년 12월 7일(음력 11월 7일) 선조(14대 왕)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원종)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종", 이후 "능양군"에 봉해졌습니다. 1608년에 "선조"에 이어 왕위를 계승한 "광해군(15대 왕)"이 1623년 서인 일파가 주도하는 반정으로 폐위되고 능양군(인조)을 조선 16대 국왕으로 옹립했습니다. "인조반정"의 명분은 "광해군"의 폐륜적인 행위와 함께 명나라와의 의리를 버리고 오랑캐(후금)와 친분을 쌓으며 중립 외교 정책을 펼쳤다는 것이었습니다. 이후 "인조"는 명나라와 친분을 두텁게 하고 후금(이후 청나라)을 배척하게 친명배금 정책을 펼치다가 결국 1627년 후금의 침입(정묘호란)을 받게 됩니다. 또한 후금이 청나라로 이름을 고치고 1636년 10만 대군이..

광해군"光海君"은 1575년 6월 4일(음력 4월 26일)에 "선조(14대 왕)"와 후궁이었던 "공빈 김씨" 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혼", 이후에 "광해군"에 봉해졌습니다. 어머니 "공빈 김씨"가 광해군이 태어나고 2년 만에 세상을 떠나면서 자녀가 없었던 왕비 "의인왕후 박씨"의 보살핌 속에서 형 "임해군"과 함께 어린시절을 보냈습니다. "선조"는 왕비 사이에서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왕세자" 책봉을 미루고 있었는데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더는 미룰수 없어 총명했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했습니다. 이후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많은 공을 세운 "광해군"은 순조롭게 왕위를 계승하는 듯했지만 "선조"의 새로운 왕비로 책봉된 "인목왕후 김씨"가 1606년 "영창대군"을 낳으면서 세자의 자..

선조"宣祖"는 1552년 11월 26일(음력 11월 11일)에 중종(11대 왕)의 8남 "덕흥대원군"과 "하동부대부인"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균", 이후 "하성군"에 봉해졌습니다. 조선 13대 왕 "명종"에게는 1명의 아들 "순회세자"가 있었지만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후사를 정하지 못했는데 왕실의 많은 자손들 중에서 "하성군"이 가장 총애를 입었습니다. 이후 1567년 명종이 승하하자 당시 16살의 나이의 하성군(선조)이 명종의 양자로 입적해 조선 14대 국왕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이로서 "선조"는 조선 역대 최초로 왕비 사이에서 태어나지 않은 서자 출신에 방계 혈통이 임금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선조"는 왕비 2명과 6명 이상의 후궁이 있었으며 자녀는 14남 11녀를 두..

명종"明宗"은 1534년 7월 3일(음력 5. 22) 중종(11대)과 "문정왕후 윤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환", 이후에 "경원대군"에 봉해졌습니다. 1544년 어버지 "중종"이 세상을 떠나면서 "장경왕후 윤씨"의 아들 "인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는데 재위 8개월 만에 승하면서 이복동생인 경원대군(명종)이 왕위를 이어받게 됩니다. 1945년 12살의 나이에 조선 13대 국왕에 즉위한 "명종"은 너무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 "문정왕후 윤씨"가 수렴청정을 했고 1553년에 친정을 시작했습니다. "명종"은 왕비 "인순왕후 심씨" 사이에서 1명의 아들 "순회세자(1551~1563)"가 있었는데 어린 나이에 사망했으며 6명 이상의 후궁도 있었지만 자녀를 두지는 못했습니다. "출생~사망" 조부: 성종 "1..

인종"仁宗"은 1515년 3월 10일(음력 2월 25일) 중종(11대)과 "장경왕후 윤씨"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이호"입니다. 어머니 "장경왕후"가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1주일 만에 세상을 떠나면서 할머니 "정현왕후 윤씨"의 보살핌 속에서 자라게 되었습니다. 또한 1517년 "중종"의 새로운 왕비로 간택된 "문정왕후 윤씨"의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매우 극진히 "인종"을 보살폈다고 전해집니다. 1520년 왕세자에 책봉된 "인종"은 순조롭게 제왕 수업을 받게 되었는데 1534년 "문정왕후 윤씨"가 아들 "경원대군"을 낳으면서 상황이 급변합니다. 문정왕후는 자신의 아들을 왕위로 올리려는 욕심이 생기면서 "인종"을 견제하는 동시에 위협을 가했다고 전해집니다. 이후 1544년에 "중종"이 세상..

중종"中宗"은 1488년 4월 16일(음력 3. 5) 성종(9대)과 "정현왕후 윤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역"이었고 이후 "진성대군"에 봉작되었습니다. 1494년에 "성종"이 승하하면서 이복형 "연산군"이 조선 10대 국왕에 즉위했는데 폭정을 거듭하다가 1506년 훈구파를 중심으로 반정이 일어나 폐위됩니다. 그리고 진성대군(중종)을 새로운 임금으로 추대하면서 19살의 나이에 조선 11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중종반정) 중종은 3명의 왕비와 9명 이상의 후궁이 있었으며 자녀는 9남 11녀를 두었습니다. "출생~사망", ⊙:자녀 조부: 덕종 "1438~1457" *추존 국왕 조모: 소혜왕후 "1437~1504" 부"父": 성종"1457~1494" *9대 왕 모"母": 정현왕후"1462~1530"..

연산군"燕山君"은 1476년 11월 23일(음력 11월 7일) 성종(9대 왕)과 "폐비 윤씨"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융"입니다.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는 후궁으로 간택되어 궁에 들어와 왕비(계비)의 자리까지 올랐지만 심한 질투심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며 폐비되었고 1482년 결국 사사됩니다. 하지만 아들 "연산군"은 1483년 세자에 책봉되어 다음 왕위를 이어 받을 준비를 하게 되었고 1494년 "성종"이 승하하자 19살의 나이에 조선 10대 국왕에 즉위하게 됩니다. "연산군"은 재위 초기 의욕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생모의 비극적인 최후를 상세히 알게 되면서 폭정의 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특히 할머니 "인수대비"에게 행패를 부려 심한 충격으로 사망하게 만들었고 아버지 "성..

조선 9대 왕 성종"成宗"은 1457년 8월 19일(음력 7. 30)에 세조(7대 왕)의 첫째 아들 "의경세자"와 "소혜왕후"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혈"입니다. 성종의 아버지 "의경세자"는 세조(수양대군)의 첫째 아들로 1455년 세자에 책봉되었지만 2년 후에 갑자기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후 "의경세자"의 동생 해양대군(예종)이 세자로 책봉되어 1468년 조선 8대 왕위에 오르게 되었지만 재위 13개월 만에 승하했습니다. "예종"에게는 다음왕위를 이어받을 아들 "제안대군"이 있었지만 당시 나이가 너무 어린다는 이유로 의경세자(덕종)의 2남 "자을산군(성종)"이 13살에 조선 9대 국왕으로 즉위합니다. 성종은 2명의 왕비와 10명 이상의 후궁이 있었으며 자녀는 16남 12녀를 두었습니..

조선 8대 왕 예종"睿宗"은 1450년 1월 14일(음력 1. 1)에 "수양대군"과 "정희왕후 윤씨"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황"이었습니다. 아버지 수양대군(세조)이 1455년 어린 조카 단종(6대)을 강제적으로 몰아내고 조선 7대 왕위에 오르면서 "예종"은 "해양대군"으로 봉해졌습니다. 그리고 1457년에는 세자로 책봉된 형 "의경세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해양대군"이 새로운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460년에는 "한명회"의 딸 한씨(장순왕후)를 세자빈으로 맞이했습니다. 하지만 "장순왕후"가 1461년 "인성대군"을 낳고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또한 "인성대군"도 어린 나이에 사망했습니다. 이후 1463년 새로운 세자빈으로 후궁이었던 한백륜의 딸 "안순왕후 한씨"를 새로운 세자빈을..

조선 제7대 왕 세조"世祖"는 1417년 11월 2일(음력 9. 24)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심씨"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유"였습니다. 아버지 세종대왕이 1418년 조선 4대 국왕으로 즉위한 이후 1428년 "진평대군"에 봉작되었으며 이후 "함평대군", "진양대군"으로 바뀌었고 다시 "수양대군"으로 불리었습니다. 이후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첫째 형 "문종"이 1450년 조선 5대 왕위에 오르게 되었는데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으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11살의 어린 조카 "단종"이 조선 6대 국왕으로 즉위하자 야심을 드러낸 "수양대군"은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켜 "단종"의 측근을 모두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합니다. 이후 1455년 단종을 몰아내고 수양대군(세조)이 조선 ..

조선 제6대 왕 단종"端宗"은 1441년 8월 9일(음력 7. 23) 문종(5대 왕)과 "현덕왕후 권씨" 사이에서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홍위"입니다. 세종 30년(1448년)에 왕세손에 책봉된 이후 1450년 "문종"이 조선 5대 왕위에 즉위하면서 자연스럽게 "단종"도 왕세자에 책봉됩니다. 이후 "문종"이 재위 2년 4개월 만에 병에 걸려 세상을 떠나면서 1452년 "단종"이 11살의 나이에 왕위에 즉위하게 됩니다. 사실 많은 자료에 의하면 단종의 할아버지 "세종대왕"은 아들 "문종"이 병약하다는 것을 알고 어린 손자가 일찍 왕위를 계승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측근들에게 단종을 부탁한다는 말을 많이 남겼습니다. 또한 "단종"의 아버지 "문종"도 자신의 몸이 허약해 일찍 세상을 떠날 것이라는 것을 예..

조선 제5대 왕 문종"文宗"은 1414년 11월 15일(음력 10. 3) "세종(4대 왕)"과 "소헌왕후"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향"이었습니다. "세종대왕"이 1418년 조선 4대 왕위에 오른 이후 1421년 문종이 7살의 나이에 왕세자에 책봉되었습니다. 이후 1450년까지 문종은 29년 동안 왕세자의 자리에서 아버지 세종을 훌륭히 보필하며 많은 업적을 이루어냅니다. 특히 1442년부터는 문종의 대리청정 기간이었기 때문에 세종대왕의 후반기 업적은 문종과 같이 이루어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1450년 세종이 세상을 떠나자 문종이 조선 5대 왕위에 오르게 되지만 몸이 허약했던 문종은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재위 2년 3개월 만에 세상을 떠납니다. 문종은 1명의 왕..